[뉴스초점] 집값 언제 잡히나…장관이 말하는 공급대책 후속 조치<br /><br /><br />정부가 뛰는 집값을 잡기 위해 주택 공급 대책을 내놓은 지 2주 가까이 지났습니다.<br /><br />서울에 예정된 물량만 32만 가구가 넘을 정도로 파격적인 대책이었지만 아직 구체적인 공급 예정지가 공개되지 않아 시장의 궁금증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오늘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을 모시고 관련 내용 등을 직접 들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 우선 오늘 오후 대통령 업무보고가 있었죠. 국토부의 올 한해 역점 추진과제 등을 보고하는 자리였습니다. 예년과 차이점은 뭐고 올해 핵심과제는 어떤 것을 들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업무보고 내용 중에 OECD 평균 이상 수준으로 교통사고 사망자를 감축한다고 했는데, 이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두는 분야가 궁금한데요?<br /><br /> 이 밖에도 올해 여러 목표가 있겠지만 시민들은 아무래도 부동산 문제에 가장 관심이 많습니다. 올해 주거 안정 실현을 위한 국토부의 계획 요약해 주신다면요?<br /><br /> 사실 집값 문제의 궁극적 해결 방안은 지방과 수도권의 균형 발전 아니겠습니까. 올해 국토부의 주요 업무 목표 중의 하나기도 한데,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지난 2·4 공급대책 얘기를 좀 해보면요. 공공기관이 정비사업을 주도해서 공급을 늘린다는 것이 핵심인데요. 토지나 건물주인들의 동의가 필요하다 보니 과연 정부가 얘기하는 숫자만큼 공급이 되겠느냐 의구심이 아직도 많은 것 같습니다?<br /><br /> 시장에서는 아직 정확한 공급 지역이 발표가 안 되다 보니 이게 언제쯤 발표가 될까 하는 궁금증도 많고요. 어느 곳이 개발 지역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실수요자들 입장에서는 오히려 매매를 위축시키는 것 아니냐 하는 불만들도 있는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공급대책 발표 후에도 주택 매수심리는 아직 큰 변화가 없는 것 같습니다. 2·4 대책에도 매수심리가 사그라지지 않는 이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주거 안정을 위해서는 교통서비스의 확충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. 얼마 전 경기도 안산의 상록수역에 GTX 노선이 정차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자 인근 아파트값이 크게 뛰기도 했잖아요. GTX 노선을 새로 만들거나 연장하는 계획도 검토가 되고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